정치 후보 홍길동

나도 한마디

당신도 혹시 가장 찌질한 상사?

당신도 혹시 가장 찌질한 상사?

부하앞 큰소리?위에는 말 한마디 못하는 유형 ‘최악’


직장인들이 뽑은 ‘가장 찌질한 상사’는 부하 직원 앞에서는 큰소리치면서 윗사람 앞에서는 말 한마디 못하는 ‘토강여유(吐剛茹柔)‘형이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에이치알파트너스가 남녀 직장인 1007명을 대상으로 ‘찌질한 직장상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은 ‘토강여유’형을 꼽은 사람이 5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부하직원의 성과 및 아이디어를 가로채 자신의 공으로 돌리는 상사(36.0%), 법인카드로 밥 사면서 자기가 쏘는 것처럼 생색내는 상사(33.5%), 1000~2000원도 자기 돈 안 들이고 회사 경비처리하는 상사(31.1%), 커피 한잔을 안 사는 상사(18.5%), 자신은 싼 것 쏘면서 부하직원들한테는 비산 것 얻어먹는 상사(14.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몇 천원씩 빌려가서는 안 갚는 상사(13.3%), 야?특근비 받으려고 일이 없어도 회사에 출근하는 상사(13.0%), 생일 명절 등 특정일에 자기를 안 챙겼다고 삐치는 상사(11.4%), 남의 책상 위에 있는 간식을 빼앗아 먹는 상사(10.8%), 담배 빼앗아 피우는 상사(4.7%) 등도 ‘찌질한 상사’로 꼽혔다.

【직장인들이 뽑은 가장 찌질한 상사】

1위 부하에겐 큰소리, 위에는 말 못하는 상사

2위 부하 아이디어를 자기 공으로 돌리는 상사

3위 법인카드로 밥 사면서 생색내는 상사

4위 1000~2000원도 경비처리하는 상사

5위 커피 한잔 안 사는 상사

6위 싼 것 사고 부하한테 비싼 것 얻어먹는 상사

7위 몇 천원씩 빌려 가서 안 갚는 상사

8위 특근비 받으려고 일 없어도 회사에 출근하는 상사

9위 생일, 명절 등에 자기 안 챙겼다고 삐치는 상사

10위 남의 책상 위에 있는 간식을 빼앗아 먹는 상사

11위 사다리 타서 자신이 걸리면 괜히 화내는 상사

12위 담배 빼앗아 피우는 상사

그러나 이런 상사에 대해 직장은들은 상당수는 ‘싫어도 내색하지 않는다(52.5%)’고 답해 별다른 대응을 하지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뒤에서 욕을 한다(34.0%)’ ‘무시한다(19.8%) 등 답변이 많아 직장인들의 애환을 드러냈다. ’대놓고 얘기한다‘는 답변은 11.1%에 불과했다.


                                                                                                 매경 박인혜 기자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조합원

등록일2013-02-27

조회수65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조합원

추천하기{AV_vote_p}반대하기{AV_vote_m}댓글등록

성공적인 리더가 매일 하는 15가지

성공적인 리더들은 특별함을 몸에 익히기 위해 매일 반복하는 15가지가 있다고 한다. 미국 경제잡지 포브스는 이런 15가지 습관을 발표했다.

이 습관들은 당연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천하기는 어렵다.

▲ 다른 사람들이 발언해도 좋다고 느끼게 해주고
▲ 빠른 결단을 내리면서
▲ 직원들에게 기대하는 바를 표현하고
▲ 사람들에게 생각할 수 있게 해주고
▲ 결과물에 대한 책임은 리더가 지며
▲ 자기 스스로가 모범이 되고
▲ 칭찬을 아끼지 않고
▲ 끊임없이 피드백을 제공하며
▲ 적재적소에 직원 배치
▲ 질문하고 조언을 얻으며
▲ 해결해야 할 문제를 뒤로 미루지 않고
▲ 긍정적인 에너지와 태도를 가지고
▲ ‘선생’이 되며
▲ 관계에 투자하고
▲ 책임지는 것을 순수하게 즐기는 것 등이다.

이 15가지 습관을 체화한 리더들은 일반 사람들은 문제를 이해하기도 전에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결정하는 놀라운 속도감과 이해력, 결단력을 가지게 된다. 이 15가지 습관을 매일 실천하게 되면 독단적으로 아랫사람을 ‘진두지휘’하기보다는 가깝게 다가서서 소소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리더가 될 수 있다. 다만 그 와중에도 잊지말아야 할 것은 책임지는 일을 두려워하면 안 되고, 결정을 할 때는 빠르고 신속하게 의무감을 갖고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름 : 비밀번호 : 스팸방지코드 :

새로운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