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후보 홍길동

나도 한마디

우리공사 조직원이 대전에서 중산층으로...

우리공사 조직원이 대전지역의 중산층으로 진입하길 바라며 좋은 글 공유합니다.


중산층의 기준


 어떠한 사회든 중산층이 두터워야 건강한 사회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중산층이 얇다. 문제는 중산층이 점점 더 얇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적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소수의 부자는 점점 더 부자가 되는데, 빈자는 많아져서 부모가 중산층이어도 자식이 중산층으로 살 가능성이 없는 가정이 늘고 있다는 조사는 우리를 더욱 우울하게 한다. 같은 하늘 밑에 살면서 숨 쉬는 것이 모두 돈인 소수의 사람들이 있는데, 아무리 애써도 가난을 벗어버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다면 인간이 평등하다는 말은 이상해도 참 이상한 말이다.


그런데 누가 중산층인가? 당신은 중산층인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할 때 우리가 ‘중산층’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기준은 이렇다. 월급은 500만 원 이상이어야 하고, 자동차는 2000CC 이상, 아파트는 부채 없이 30평 이상, 예금 잔고 1억 원 이상, 해외여행 연1회 이상! 당신은 몇 개나 해당사항이 있나? 쭉, 열거해놓은 것을 따라가다가 우리 사회에서 중산층의 길은 멀기만 하구나, 하고 한숨짓기 전에 발견하게 되는 것이 있다. 중산층의 기준이 모두 경제적인 것이란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 중산층의 기준은 하나뿐인 것이다. 바로 돈이다.


중산층이란 것이 사회적 개념인 동시에 경제적 개념이니 중산층을 따질 때 돈이 하나의 변수인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러나 기준이 돈뿐이라면 말은 달라진다. 그 기준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각박한지를 대변해주는 바로미터 아닐까. 그것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명확해진다. 옥스퍼드대학이 제시한 영국의 중산층은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강조하는 나라답게 신사정신이 강조되어 있다. 페어플레이를 할 것, 신념을 가지면서도 독선적이지 않을 것,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할 것, 불의와 불법에 대처할 것!


청교도 정신이 바닥에 흐르고 있는 미국의 중산층 기준도 영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떳떳한 주장을 가질 것, 사회적 약자를 도울 것, 부정과 불법에 저항할 것, 테이블 위에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비평지가 있을 것! 미국의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의 기준이라는데 그런 기준으로 사회교육을 받은 아이들과 경쟁만 하는 우리의 아이들이 얼마나 다르게 성장할지는 추측할 수 있는 대목이 아닐까.


프랑스 중산층의 기준은 또 다르다. 다룰 수 있는 악기 하나, 할 수 있는 외국어 하나, 잘 할 수 있는 나만의 요리, 봉사활동, 사회적 문제에 대한 건강한 분노! 퐁피두 대통령이 ‘삶의 질’에서 제시한 프랑스의 중산층 기준인데, 확실히 문화 선진국이라 할 만하지 않나.


그 나라에서 제시하고 유통되는 중산층의 기준에는 그 나라 국민의 삶의 지향성이 그대로 들어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돈인 우리나라, 돈밖에 모르는 우리가 부끄럽지 않으니 청문회가 그 모양인 것은 아닐까. 고위공직자를 하고난 후 총리를 하고 헌법재판소장을 하겠다는 사람들이 어째 경제적으로만 중산층인지. 그들이 경제적으로는 모두 중산층 이상이어도 문화적으로 사회적으로는 빈곤하기 그지없는 사람 일색인 것은 어쩌면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부끄러운 우리 사회의 자화상인지도 모르겠다.



이주향 수원대교수 펌글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조합원

등록일2013-02-22

조회수612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이름 : 비밀번호 : 스팸방지코드 :

새로운글